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요, 난청
- 난청이란?
난청은 소리가 잘 들리지 않거나, 소리를 분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해요. 소리는 귓바퀴와 외이도를 통해 들어와서 고막을 떨리게 만들고, 중이 안에 있는 세 개의 작은 뼈를 지나 달팽이관에서 전기 신호로 바뀌면서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돼요. 이 과정 중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난청이 나타날 수 있어요.

난청은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요. 사람 사이에 대화가 어려우면 쉽게 고립감이나 우울감을 느낄 수 있어요. 언어와 인지가 발달하는 시기인 영유아의 난청은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난청의 분류
난청은 문제가 되는 부위에 따라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성 난청으로 나눌 수 있어요. 전음성 난청은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원인이 귀 바깥쪽 부분인 외이와 중이에 있을 때를 말해요. 이와는 달리 감각신경성 난청은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원인이 내이나 청신경에 있을 때를 말해요. 혼합성 난청은 두 부분에 모두 문제를 가지고 있을 때를 말해요.
- 난청의 원인
난청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어요. 태어날 때부터 귀 발달에 문제가 있거나, 임신 중 엄마가 풍진이나 매독 등에 감염되었을 때, 일부 귀에 독성이 있는 약물을 사용했을 때, 신체 다른 부위에 문제가 있었거나 감염성 질환이 있었을 때는 신생아나 영유아에서 난청이 나타날 수 있어요. 유전질환이 원인이 되어 난청이 생기기도 해요. 만성 중이염이나 삼출성 중이염도 난청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청각신경이나 뇌에 생긴 종양도 난청을 일으킬 수 있어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귀에 생기는 퇴행성 변화로 나타나는 노인성 난청도 늘어나고 있어요. 소음에 지속해서 노출되면 달팽이관의 세포가 손상을 입으면서 소음성 난청이 생겨요. 확실한 이유 없이 갑자기 청력에 문제가 생기는 돌발성 난청도 있어요.
- 난청의 진단
난청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귀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지 않은지 확인해요. 다양한 주파수에서 얼마나 작은 소리까지 들을 수 있는지 청력을 확인해요. 소리 자극을 주면서 귀의 각 부위의 기능이 어떤지, 귀에서 청신경, 뇌로 이어지는 전달 경로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요. 청력에 문제를 줄 수 있는 다른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CT, MRI 등의 영상 검사가 필요하기도 해요.
- 난청의 치료
난청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다양해서, 전문가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아요. 귀지로 외이도가 막혀있다면 귀지를 제거하고, 만성 중이염이나 삼출성 중이염으로 중이에 물이 차 있다면 고막에 환기 튜브를 삽입하는 수술이 도움이 돼요. 난청의 원인이 되는 부위에 따라 보청기가 도움이 되기도 하고, 인공와우(인공 달팽이관) 이식술이나 청성뇌간이식술을 고려하기도 해요.
- 난청의 예방
귀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커다란 소음에 계속 노출되는 환경은 피하는 것이 좋아요. 직업적으로 소음에 노출된다면, 귀마개 등 적절한 보호장구를 꼭 사용하세요. 청력검사도 주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아요. 신생아는 난청을 빨리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기 위해 생후 1개월 이내에 신생아 청각선별검사를 받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