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혈관부종
Hereditary angioedema
⚊
유전성 혈관부종이란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희귀질환으로, 브라디키닌에 의해 발생하는 혈관부종을 의미하며, 두드러기를 동반하지 않는 부종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유전성 혈관부종이란?
혈관부종(angioedema)은 일시적으로 혈관의 세포들이 확장되면서 혈관 내의 체액이 빠져나가 주변 조직에 고여 심부 진피나 피하조직, 점막 등이 부어오르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혈관부종은 비만세포에서 분비하는 히스타민에 의해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혈관부종으로, 피부가 벌게지면서 가려운 두드러기 증상을 동반하며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로 치료합니다.
반면 유전성 혈관부종은 히스타민이 아닌 브라디키닌(bradykinin)에 의한 부종으로, 유전적으로 C1 에스테르 분해효소 억제제(C1 esterase inhibitor, C1-INH)가 결핍되거나 그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희귀질환입니다. 알레르기성 혈관부종과 달리 피부 두드러기를 동반하지 않으며,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북미나 유럽과 달리,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에서는 유전성 혈관부종에 대한 연구가 적어 정확한 유병률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2018년 국내 3차 병원 알레르기내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총 65명의 환자가 유전성 혈관부종을 확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서는 81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실제 이 병을 가진 환자 수가 증가했다기보다는 최근 몇 년 사이 유전성 혈관부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검사를 좀 더 적극적으로 시행해서 숨겨져 있던 환자가 발견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환자 수는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 유전성 혈관부종의 증상
발치나 임플란트, 위내시경 검사, 외상 등의 신체 자극이 가해졌을 때, 감기에 걸린 이후, 과도한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가 있는 생리 기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드러기를 동반하지 않는 부종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으로, 증상은 급격히 진행합니다. 다만 환자마다 부종의 발생 부위, 상황, 빈도, 지속 시간 등은 모두 제각각으로 예측이 어렵습니다. 주로 생식기, 눈가나 입술을 비롯한 안면부, 손과 발 등 피부가 얇은 곳에서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위장관 점막부종으로 인한 경련성 급성 복통, 목(후두)의 점막부종으로 인한 목소리 변화나 급성 호흡곤란 등을 겪는 환자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증상은 일시적으로 일상에 불편을 초래하는 데 그치지만, 후두의 점막부종은 급성 호흡곤란으로 이어져 생명에 위협이 되고 뇌 손상 같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 유전성 혈관부종의 원인
유전성 혈관부종은 C1 에스테르 분해효소 억제제를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 유전자는 변이에 취약해서 전체 환자의 20~25%는 가족력 없이 새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병이어서 부모 중 한 사람이 유전성 혈관부종이 있을 때 자녀가 이 병을 가질 확률이 50%입니다. 따라서 유전성 혈관부종을 진단받으면 직계가족 모두 유전자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이 늦어질수록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무엇보다 급성 악화가 일어났을 때 적절한 대처가 늦어져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유전성 혈관부종의 진단
두드러기를 동반하지 않는 부종이 반복되는 경우, 혈관부종 가족력이 있거나 어린 나이에 증상이 시작돼 지속되는 경우, 부종의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에피네프린과 같은 일반적인 혈관부종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유전성 혈관부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병력에서 유전성 혈관부종이 의심되면 혈액검사로 C1 에스테르 분해효소 억제제의 농도와 기능을 평가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방법이 까다로운 것은 아니지만, 환자 수가 워낙 적다 보니 환자들은 물론 의료진들도 유전성 혈관부종에 대한 인식이 낮아 진단이 늦어진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 유전성 혈관부종의 치료
유전성 혈관부종 치료는 장기 예방요법, 단기 예방요법, 급성 악화 시 응급대응 치료, 총 세 갈래로 치료제를 사용합니다. 장기 예방요법은 평소 질병 조절을 위해 꾸준히 투여하는 약제로, 현재 국내에서는 다나졸이라는 남성호르몬 제제를 사용 중입니다. 그러나 이 약은 여러 부작용이 있고 특히 가임기 여성 환자에게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C1 에스테르 분해효소 억제제를 직접 공급해주는 보다 근본적인 기전의 경구 약제나 주사제가 국내에 도입될 예정입니다. 단기 예방요법은 발치나 내시경검사 등 혈관부종의 급성 악화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적으로 미리 복용하는 약제입니다. 급성 악화 시 응급대응 치료는 말 그대로 일상생활 중 심각한 급성 부종이 발생했을 때 증상을 가라앉히는 약제로, 인슐린 주사처럼 환자가 직접 자기 배에 주사를 놓는 방법입니다.
- 주의사항
유전성 혈관부종 환자들은 수술이나 내시경검사, 발치 등 인체에 자극이 되는 검사나 치료가 예정되어 있다면 반드시 사전에 알레르기내과 주치의에게 진료와 상담을 받도록 합니다. 응급 발작의 위험이 높은 치과 치료를 줄일 수 있도록 평소 치아 관리를 잘하는 것, 위염이 덜 생기도록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것 등 평소 꾸준한 건강관리가 증상을 잘 다스리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여행을 갈 때는 급성 악화 시 사용하는 비상약과 주사기를 여유 있게 챙겨가도록 합니다. 또 약물 부작용이 있을 때는 임의로 약을 끊지 말고 주치의와 반드시 상담하기를 권합니다.
<글 세브란스병원 알레르기내과 박경희 교수 >